11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인천의 ‘4·9 총선’ 투표율은 42.5%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광주(42.4%)의 뒤를 이어 15위를 기록했다.
인천은 2002년 이후 모두 6차례의 대선, 총선, 지방선거에서 3차례나 꼴찌를 했다. 또 15위는 두 차례,14위 한 차례 등 계속 하위권을 맴돌고 있다.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도 꼴찌 아니면 13∼15위 수준이며, 특히 지방선거에서는 1995년 이래 4차례 선거 모두 꼴찌를 기록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뚜렷한 원인이 드러나지 않아 ‘미스터리’라는 말까지 나오지만, 우선 떠오르는 것이 ‘정거장론’이다.
수도권에서 집값이 싼 편인 인천에는 서울에 연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이 산다. 밤에만 인천에 있는 이들에게 지역에 대한 정체성과 정주의식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즉, 서울 등에서 자리가 잡히면 인천을 언제든지 떠날 사람들이 지역 인사를 뽑는 데 관심을 갖기란 쉽지 않다는 해석이다.
인천 토박이가 20% 안팎에 불과한 것도 이런 현상을 부추기고 있다. 아무래도 선거 분위기를 띄우는 것은 그 지역 출신이다. 경기도에도 위성도시가 많지만 전체적으로 도·농이 복합된 도시라 인천과는 사정이 다르다.
인천에 기반을 둔 정당이나 유력한 정치인이 없어 선거가 시민들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1950∼70년대에는 인천에 조봉암 선생을 비롯한 걸출한 정치인이 있었고 ‘야도(野都)’라는 뚜렷한 이미지가 있었지만 90년대 이후에는 전국적 지명도를 지닌 정치인이 없는 데다 이슈도 만들지 못한다는 것이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다른 지역 국회의원들은 무리를 해서라도 성과를 내 존재를 알리지만 인천 출신은 점잖아서 그런지 전혀 그렇지가 못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인천의 투표율이 점차 높아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경제자유구역 개발 등으로 인천의 집값과 땅값이 하루가 다르게 치솟으면서 ‘베드타운’ 성격이 희석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천의 대표적 베드타운으로 상대적으로 투표율이 낮았던 계양구와 연수구의 투표율이 이번에는 오히려 다른 구보다 높아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