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40여일이 지난 20일 현재 모습을 보면, 종전과 달라진 게 없어 소리만 요란한 ‘빈 수레’였다는 빈축을 사고 있다.
정문 출입시 방문 이유 등을 꼬치꼬치 캐물은 뒤 후문으로 돌아 들어가게 하고, 후문 출입시에도 여전히 방문객 안내소를 거쳐야 출입이 가능하기 때문이다.‘말따로 행동따로’인 셈이다.
발표 당시 행안부 관계자는 “국민들의 출입이 잦은 본관 1층 로비를 전면 개방하겠다.”면서 “출입시 신분 확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무실 방문을 제외한 청사 1층 편의시설을 방문증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청사 1층에는 우체국, 은행, 서점, 매점 등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서 있다. 그러나 편의시설을 이용하려는 시민들도 사무실 방문 여부와 상관없이 방문객 안내소로 먼저 들어가 방문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청사출입담당 경찰은 “구경하는 목적으로는 방문증없이 출입할 수 없다.”면서 “공무원과 약속을 하고 오면 연락후 출입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그는 정·후문 출입시 은행, 우체국 등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신분증을 제시하고 기록을 남겨야만 들어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 탓에 차를 타고 정문으로 왔을 경우 방문증을 받기 위해 후문으로 돌아가는 불편을 겪기 일쑤다.
직장인 손모(33)씨는 “업무상 청사를 자주 찾는 편”이라면서 “정부의 발표로 출입시 불편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달라진 것이 없어 오히려 우롱당한 기분”이라고 불쾌해 했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사라질 것으로 기대했던 구태 전시행정의 전형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함을 더한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