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행안부에 따르면 원 장관은 최근 본부내 67개 과와 정부청사관리소 등 68개 부서에 각각 100만원씩 모두 6800만원을 지급했다.
행안부 장관이 연간 사용할 수 있는 업추비가 3억원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4분의1가량을 직원들에게 내놓은 셈. 이는 원 장관이 지난 2월말 취임한 이후 4개월여 동안 사용한 업추비 총액보다 많다.
원 장관은 공적·사적 약속에 상관없이 법인카드(업추비)를 쓰는 관행에서 탈피, 사적인 자리에서는 개인카드로 결제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때문에 취임 직후라 각종 행사가 많은 3월에도 1685만원의 업추비만 썼다. 전임 장관들의 절반 수준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조직이 축소된 데다, 출신에 상관없이 부서 배치가 이뤄진 만큼 직원들의 사기 진작과 화합 차원에서 장관 업추비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고 귀띔했다.
결국 ‘짠돌이’ 원 장관이 거액의 ‘쌈짓돈’을 내놓은 셈이다. 게다가 부서별로 지급된 업추비는 뜻깊은 일에도 쓰이고 있다.
장애인·저소득층 채용 등 균형인사를 담당하는 박상희 인사평가과장과 직원들은 이날 장애인복지시설인 서울 종로구 ‘라파엘의 집’을 방문, 봉사 활동을 했다. 앞서 최재용 고위공무원정책과장과 직원들은 지난 20일 정부 등으로부터 공식적인 지원을 받을 수 없는 소규모 비인가 아동복지시설인 서울 은평구 ‘성모의 집’을 찾았다.
업추비는 행사비용이나 식사비, 격려금, 경조사비 등으로 사용된다. 각 부처는 2003년부터 총리 훈령에 따라 연간 두차례씩 기관장 업추비 사용내역을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고 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8-6-26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