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2∼5월 시청 본관 건물에 대해 외부에 예비 안전진단을 의뢰한 결과, 건물의 주요 구조를 이루는 콘크리트의 중성화와 철근 부식 등의 구조상 결함으로 ‘D급 판정’을 받아 정밀 안전진단을 의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 중 정밀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면 보강이나 개축 등 향후 처리 방안을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시설물 안전에 관한 특별법’에서는 정밀 안전진단에서 D급이 나오면 긴급 보수·보강을 하고 사용 제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E급일 때에는 사용을 즉시 중지하고 보강이나 개축을 해야 한다.
시는 2001년 시청 본관에 대한 예비 안전진단을 의뢰해 바닥 등 부분적으로는 D급을, 건물 전체적으로는 이보다 양호한 C급 판정을 받았다. 시 관계자는 “본관 건물이 등록문화재인 만큼 정밀 안전진단 결과가 나오면 이를 토대로 문화재청과 협의해 보존이나 복원 등을 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시청 본관은 일제 강점기인 1926년 경성부 청사로 지어진 르네상스 양식의 지상 4층 규모 건물이다.1층 외벽은 석재, 나머지는 벽돌에 모래 뿜질을 사용해 건축됐다.
서울시 신청사 건립공사에 따라 현재는 비어 있다. 향후 리모델링을 거쳐 도서관과 전시관, 역사관 등의 시민 문화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