촛불집회·독도관련 강성발언…“대통령 방패막이” 시각도
한승수(얼굴) 총리가 확 달라졌다.가능한 한 민감한 현안에 대해 말을 아끼던 그가 연일 강성 발언을 쏟아내며 주위를 놀라고 하고 있는 것. 한 총리는 지난 18일 국회 본회의 긴급현안질의에서 촛불집회에 대한 경찰의 물대포 사용에 대해 “다른 어떤 나라의 시위 제어 방법보다 평화적인 진압방법”이라고 반박했다.MBC ‘PD수첩’의 광우병 파동 책임 논란과 관련해선 “필요시 PD수첩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YTN의 낙하산 사장 선임 논란에 대해서는 “자격이 있는데도 그 자리에 앉히지 못하게 하는 것도 문제”라고 확고한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또 금강산 관광객 피격사건과 관련, 지난 20일 총리공관에서 열린 고위당정회의에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는 한 금강산 관광 재개는 없다.”고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해서도 “역사를 왜곡시켜 한·일간 선린우호관계를 해치는 일”이라며 “독도 영유권에 대해선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전례 없이 발언 수위를 높였다.
총리의 이같은 변화는 진통 끝에 연임이 확정된 데다 대통령 신임과 함께 총리실 기능이 크게 강화된 데 힘입은 것으로 보인다.
총리실의 한 간부는 “정책조정 기능 부활, 공직윤리지원관 신설 등으로 총리의 부처 장악력이 커진 만큼 그에 걸맞게 발언 수위 및 행동반경을 넓히려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중앙부처의 한 고위 간부는 “사의 표명 전 받아 왔던 국정난맥에 대한 총리의 ‘역할부재’ 비판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과 함께 총리로서의 존재감을 확실히 하겠다는 의지가 작용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PD수첩과 YTN 사장 선임건과 관련해선 “지금까지 몸을 사리고 대통령을 방어해 주지 못했다는 여권내 눈총을 의식해 강력한 방패막이로 나선 것 아니냐.”는 시각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임창용기자 sdragon@seoul.co.kr
2008-7-22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