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3곳 3년째 툭하면 떨어져 불안 통신중계시설등 원인 놓고 설왕설래
‘우리 마을에만 벼락이 떨어질까.’ 전남 강진의 3개 마을에 2006년부터 3년째 벼락이 수시로 떨어져 그 원인을 놓고 설왕설래하고 있다.강진군 성전면 명산리 오산·명동·당산 등 3개 마을(125가구·259명)은 ‘벼락치는 마을’로 통한다.
●천재지변… 수천만원대 피해 보상 막막
3개 마을 가운데 매봉산을 등진 오산마을의 피해가 가장 크다. 마을 앞 하천 건너에 있는 명동·당산마을은 오산마을보다 벼락 피해가 적다.
집안 가전제품과 전화기·컴퓨터·보일러는 물론 관정용 변압기, 모터 펌프 등 전기가 흐르는 제품이면 모두 벼락 피해를 받았다.
전체 피해액만 수천만원대에 이른다. 오산마을 박배진(49) 이장은 “3년 동안 마을 60가구가 거의 낙뢰 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주민 박전환(67)씨는 “안방과 거실에 있던 텔레비전 7대가 벼락으로 망가졌다.”고 하소연했다. 당산마을 전생용(70) 이장은 “지난해 10월, 올 4월에 마을 상수도 수중 모터가 낙뢰로 부서져 수리비만 수백만원이 들었다.”고 전했다. 지난달 3일 낙뢰로 명동마을 32가구 가운데 10여가구에서 텔레비전과 전화기, 컴퓨터 등이 고장났다. 천재지변이라 피해 보상도 막막하다.
●“대형 상수도 시설등 설치뒤 급증”
주민들은 “3년 전에는 벼락 피해가 한 건도 없었다.”며 “마을 주변에 통신중계 기지국과 대형 상수도 주철관이 지나면서 벼락이 심해졌다.”고 주장했다. 마을 이장들은 또 “마을 뒤로 목포∼광양간고속도로 공사로 터널이 생기고 고압선이 지나면서 번개가 심해졌다.”고 의혹을 가졌다. 이장들은 “3개 마을은 주변 다른 지역에 비해 비가 덜 오는 편”이라고 말했다.
소방본부 관계자들은 “반경 2㎞ 안에 매봉산과 수암산, 월출산이 겹겹이 3개 마을을 감싸면서 지상의 고온다습한 수증기가 상층부의 찬 공기와 충돌해 낙뢰가 발생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최동수(52) 한전 강진지점 전력공급팀장은 “낙뢰는 천재지변으로 피해에 따른 보상규정이 없다.”면서 “번개가 나무에 떨어져도 주변 통신기기와 전자제품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강진군은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자 3개 마을회관에 대형 피뢰침을 세우는 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강진 남기창기자 kcnam@seoul.co.kr
2008-8-5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