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하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소화가스)’를 차량용 연료로 생산하기 위해 12일 관련 기술을 보유한 ㈜바이오메탄서울과 업무협약을 맺는다고 11일 밝혔다.
이 사업은 서울시 물재생센터(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바이오 가스를 정제해 바이오메탄 가스를 생산하는 것이다.
바이오 가스에는 보통 메탄 성분이 60%가량 포함돼 있지만 메탄의 함량을 높이는 정제과정을 거치면 메탄 성분이 97% 이상인 바이오 메탄가스로 바뀐다. 이 정도면 자동차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서울시와 협약을 체결하는 ㈜바이오메탄서울은 스웨덴의 바이오가스 업체인 SBI,GBL사와 ㈜에코에너지홀딩스,㈜서남환경 등 4곳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회사다.
㈜바이오메탄서울은 34억원을 투자해 정제설비 등을 갖춘 후 내년 3월부터 강서구 마곡동 서남물재생센터에서 하루 7000N㎥(섭씨 0도,1기압 상태에서의 부피 단위)의 바이오가스를 추출한다.
이를 통해 마을버스 30여대를 하루 종일 운행할 수 있는 양인 3000N㎥의 바이오메탄을 생산할 예정이다. 바이오메탄은 압축천연가스(CNG) 가격의 85% 수준에서 마을버스와 청소차용 연료로 판매된다. 시는 시범사업 이후 순이익이 발생하면 수익금의 50%를 갖는다.
시 관계자는 “바이오메탄은 천연가스와 거의 유사해 대기오염 물질을 적게 방출한다.”면서 “하루 3000N㎥의 바이오메탄을 사용하면 연간 2100t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