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인천시 아시아경기대회지원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4일 서울시에 보낸 ‘아시안게임 경기장 조성 협조 요청’ 공문에 대한 회신이 한달 가까이 미뤄지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내부 검토 중이다. 중요한 사안인 만큼 심도 있는 협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수도권매립지는 인천 서구에 있지만, 일종의 토지소유권인 매립면허권은 서울시와 환경부가 7대3의 비율로 갖고 있어 이들의 동의를 얻어야만 경기장을 지을 수 있다.
환경부는 아시아대회지원본부로부터 경기장 조성 협조 요청을 받고 ‘조건부 동의’ 답신을 보냈다. 환경부는 골프장은 대중골프장이어야 하고, 골프장에서 발생한 수익금으로 수영장, 승마장 건설비용을 충당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서울시는 특히 골프장 건설에 예민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인천아시안게임 준비와는 별개로 3년 전부터 매립장 내 공원인 ‘드림파크’ 조성 재원 마련을 위해 쓰레기 매립이 끝난 1매립장(405만㎡)에 골프장(141만㎡)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해 왔으나 서울시는 줄곧 반대해 왔다.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서울시가 난지도 골프장을 공원화하는 상황에서 매립지에 골프장을 만드는 데 동의하는 게 쉽지 않겠지만, 선진국에서도 매립지 골프장은 친환경적으로 인식되는 데다 연간 60억원에 달하는 수익으로 쓰레기봉투값 인상이 억제되는 등 여러 긍정적 요인이 있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최근 열린 토론회에서 “수도권매립지는 입지가 좋아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와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갖고 있지만,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천시 입장에서도 수도권매립지에 아시안게임 경기장을 조성하면 건설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특히 골프장의 경우 매립지공사가 조성 준비작업을 거의 마무리한 상태여서 잔디 위에 나무 정도만 심으면 된다.
인천시는 오는 10월까지 문화체육관광부에 아시안게임 경기장 건설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서울시가 수도권매립지에의 경기장 건설에 동의해주지 않으면 다른 장소를 물색해야 한다. 승마장 부지는 인천에 적합한 곳이 없어 인접한 도시 가운데 승마장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곳을 찾아야 한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