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연했던 봉사활동 결정에 큰 도움”
서초구청에선 한 달에 한 번 아줌마 아저씨를 가득 실은 관광버스가 관광지(?)로 출발한다. 지난 3월부터 시작한 관광의 최종 목적지는 인근 장애인시설과 복지관, 공부방, 환경단체 등 봉사의 손길이 필요한 시설이다.
이른바 ‘자원봉사 현장투어’. 참가자들은 대부분 자원봉사에 관심이 있는 주민들이지만 뭘 하면 되는지 또 스스로 감당할 수 있을지 몰라 아직 마음의 결정을 내리지 못한 이들이다. 현장에서 이들은 실제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모습과 봉사할 때의 주의점, 운영 중인 프로그램의 종류와 특징 등을 살펴보고 체험한다.
유영남 복지정책과장은 “막연하기만 했던 봉사활동을 직접 보고 나면 자신이 할 수 있는 봉사는 어떤 것인지, 또 지속적으로 감당해낼 수 있는지 등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면서 “이 과정을 거쳐 마음의 결정을 한 봉사자의 경우 더 심도 있는 봉사활동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궁극적인 목표는 자원봉사자의 수를 늘리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봉사 자체를 미화하지는 않는다는 게 현장투어의 원칙이다. 봉사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어려움이나 보람 모두 그대로 보여주고 스스로 결정하게 해야 중도하차도 줄일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6차례 100명 투어·70명 ‘맞춤 봉사´ 자원
자원봉사에는 어떤 일들이 있는지 소개하는 일도 봉사 경험이 많은 선배 자원봉사자들이 해준다. 이른바 자원봉사 투어가이드다.
투어가이드 김인한(52)씨는 “저소득층 자녀들을 가르치는 일부터 한강 순찰까지 서초구 한 곳에서만도 할 수 있는 자원봉사의 종류는 셀 수 없이 많다.”면서 “많은 일 중 자신이 잘할 수 있는 일을 해야 시작하기도 쉽고 즐겁게 봉사할 수 있다고 본다.”라고 말했다. 그동안 6차례에 걸쳐 진행된 현장투어에 참가한 인원은 모두 100여명.
이중 70명 정도가 투어를 마치고 자신에게 맞는 봉사를 찾아 자원봉사자의 길로 들어섰다. 서초구는 또 지난달 27일부터 한 달간 자원봉사대학을 운영 중이다. 교육을 통해 전문성과 사명감을 갖춘 자원봉사자들을 배출하기 위해서다.
봉사에 대한 이론수업은 물론 봉사자의 기본자세, 즐기는 자원 봉사법 등 다양한 커리큘럼으로 구성돼 있다. 자원봉사대학에서는 봉사에 대한 강의 이외에 자원봉사자를 위한 문화, 예술, 경제강의 등을 진행해 남에게 베푸는 사람들에 대한 인센티브도 제공한다. 서초구는 현재 24.1%의 주민 자원봉사 참여율을 40%대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08-9-19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