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가족부는 19일 치매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치매관리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치매의 조기 검진율을 지난해 3.7%에서 2012년까지 60%로 올리고 관리비율도 지난해 34%에서 2012년 70%로 높인다는 계획이다.
복지부는 ▲60세 이상 건강보험 건강검진에 치매검사항목 추가 ▲치매환자에 대한 바우처 지원 ▲중앙·권역별 치매센터 설치 ▲치매환자에 대한 장기요양보험 확대 등 다양한 방안을 내놓았다.
차상위 계층에 해당하는 저소득층 노인이 치매 진단을 받을 경우 약값과 재활치료 비용을 ‘바우처’(서비스 교환권) 형태로 일정 수준까지 지원해 줄 계획이다.
복지부는 또 치매 관련 정책의 ‘두뇌’ 역할을 할 ‘국가치매사업추진단’과 국립치매센터 1곳을 설립한다. 이밖에 권역별 치매거점센터 4곳, 치매관리센터 253곳을 추가로 설치한다. 아울러 복지부 안에 치매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치매 관련 전문인력도 2012년까지 현재의 6배 수준인 6000명까지 늘린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