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광주시에 따르면 관련 부서 직원들이 중심이 된 ‘광주천 맑은 물 되찾기’ 연구팀은 최근 증심사천 등 광주천 상류 8곳에서 하수 관거로 유입되는 하루 1만 5000t의 깨끗한 자연수를 하천 유지용수로 활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이 물의 흐름을 광주천으로 곧바로 유입시켜 맑은 물을 공급하는 효과를 얻는다.
연구팀이 이번에 새로 발굴한 광주천 상류 샛강은 증심사천을 비롯해 성촌마을·홍림교 등 증심사천 3곳, 용산차량기지 앞·소태천 등 광주천 2곳, 문화전당·양동시장역사·양동 금호생명빌딩 등 지하수 3곳 등 8곳이다.
이 물을 활용할 경우 광주천의 수질개선과 수위 상승 효과는 물론 수질오염총량제에 의한 오염물질저감 사업비 63억원, 하수처리장 운전비 절감 등에서 매년 5억 3000만원의 예산절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망된다.
광주시는 앞서 광주천 정화사업의 하나로 2004년부터 11월까지 광주천의 영산강 합류지점인 서구 유덕동~동구 용연정수장 부근 18㎞ 구간에 500~1000㎜ 주철관을 묻고 하루 10만t을 방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앞서 추진된 ‘광주천 유수화 사업’으로 하루 4만 3000t의 물을 하천 상류에 방류하는 것을 비롯해 모두 15만 8000t의 물이 매일 광주천 상류에서 하류로 흘려보내진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8-10-28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