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코레일에 따르면 2006년 12월 경남 거제시 남부해역에 시범 설치한 철도차량을 활용한 인공어초에서 여러 종류의 동식물이 잘 자라나고 있다는 것. 인공어초 및 바다목장 사업 진출에 청신호가 켜졌다.
코레일이 개발한 철도차량 인공어초는 수명을 다한 지붕이 있는 화차.
인공어초는 길이 13.1m, 폭 6.9m, 높이 3.1m로 내장재를 제거한 후 균형유지를 위해 뼈대를 설치했다.
또 해양생물 서식에 필요한 친밀한 공간 조성을 위해 자연석과 폐레일을 채웠고 구멍을 뚫어 햇볕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수심 20m에 설치 후 지난달 21일 코레일과 해중 연구조사팀이 관찰한 결과 조피볼락과 감성돔, 놀래기 등 수종의 자연산 어류가 왕성하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차량과 폐레일 등에서 나오는 철이온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을 돕는 한편 철도 구조물이 어류의 산란과 서식 공간을 제공하면서 인공어초 주변으로 먹이사슬을 형성했다.
코레일 관계자는 “2년간의 의무시험기간이 끝나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라며 “폐차량을 재활용해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중소기업과의 상생개발 등 장점이 입증됐다.”고 말했다.
한편 코레일은 덮개가 있는 화차에 이어 벌크 탱크로리 화차를 후속 모델로 한 인공어초를 개발해 경북 해역에 시험 준비하는 등 각종 폐철도자원을 활용한 녹색성장형 인공어초 개발에 나서고 있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08-11-5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