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젖소 송아지는 기르려는 농가가 없어 개 값도 못 받는 실정이다.
20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210만원선이던 3개월 된 수송아지 가격은 155만원으로 55만원이나 떨어졌다. 소값이 좋을 때 200만원을 훨씬 웃돌았던 암송아지값도 140만원대로 폭락했다.
특히 50만원 안팎이었던 젖소 송아지(생후 3~4일생) 가격은 최근 10분의1 수준인 5만원대로 떨어졌다. 그나마 입식하려는 농가가 적어 일부 지역에서는 마리당 3만~4만원에 거래되기도 한다. 어지간한 강아지 값도 안 되는 수준이다.
더욱이 최근 들어서는 수요가 없어 거래 자체가 끊기다시피 한 상태다.
특히 젖소 송아지는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대용유를 먹여야 하기 때문에 농가들로부터 더욱 외면당하고 있다. 송아지가 생후 60~90일 동안 먹는 액체 사료인 대용유와 일반 사료 값은 국제 곡물가격 급등 영향으로 올 들어 평균 50% 가까이 올랐다. 게다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으로 젖소 비육우의 경쟁력이 떨어진 것도 젖소 송아지값 폭락의 주요인이다.
도 관계자는 “젖소는 우유 생산을 위해 주기적으로 송아지를 낳아야 하기 때문에 공급량 조절이 어렵다.”며 “사료값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당분간 가격 폭락상태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돼지, 닭, 오리 가격은 지난해보다 크게 올랐다.
돼지는 100㎏짜리 비육돈 1마리가 29만 7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9만원보다 10만 7000원이나 올랐다. 육계 값과 오리 값도 ㎏당 1625원,2000원으로 지난해보다 각각 545원,600원 올랐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08-11-21 0:0: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