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18일 중증장애인 특채시험 최종 합격자 명단을 발표했다.
이번 시험은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 올해 처음 실시됐다.각종 자격증을 갖고 있거나 연구·근무 경력이 있는 중증장애인 708명이 응시해 평균 39.3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거쳐 18명이 최종 합격했다.직급별로는 7급 5명,9급 9명,연구사 1명,기능직 3명이다.장애 유형별로는 지체장애 8명,신장장애 5명,청각장애·시각장애·뇌병변·호흡기장애·국가유공자 각 1명이다.연령별로는 40대 3명,30대 9명,20대 6명이다.
합격자 전원이 ‘인간 승리’를 보여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고령 합격자인 곽광현(42·지체장애 2급)씨는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직후 열린 장애인체육대회에 출전,펜싱에서 동메달을 딴 열성파.노동부에 배치돼 고용보험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곽씨는 “장애인들에게 가장 절실한 문제는 일자리를 비롯한 소득보장으로,이제 문제를 해결하게 됐다.이제 최대 고민은 결혼”이라며 환하게 웃었다.
안춘목(40·지체장애 1급)씨도 서울시장애인기능대회 컴퓨터 활용부문 금메달 수상 등 화려한 경력을 바탕으로,전산업무를 담당할 예정이다.안씨는 “휠체어를 타야 하기 때문에 민간기업에서는 능력을 활용할 기회 자체가 좀처럼 주어지지 않았다.”면서 “특채시험이 중증장애인들에게는 커다란 기회이자 희망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애인 부모 밑에서 자라 자신도 군복무 중 불의의 사고로 장애를 얻은 한원민(28·시각장애 1급)씨는 독학으로 사서자격증을 취득,이번 특채에 합격했다.국립중앙도서관에서 사서로 일하는 꿈을 이루게 됐다.합격자들은 15개 부처에 배치돼 경력이나 자격에 맞는 업무를 담당하게 된다.
행안부 이경한 사무관은 “합격자들의 공직 사회 적응을 위해 임용 전 실습교육을 실시하고,임용 후에는 보조공학기구 등 편의시설도 제공할 방침”이라면서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증장애인 특채가 확산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08-12-19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