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기술직·장애인 ‘안도’
전체 국가직 채용 규모는 일단 선전했다는 게 중론이다.당초 올해 선발인원인 4868명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000명선에 그칠 것으로 예상됐으나,극심한 경기침체가 오히려 채용 규모의 하한선을 끌어올리는 호재로 작용한 것.
실제 내년도 행정·외무고시 등 5급 채용 인원 347명은 외교·통상기능 강화 등을 이유로 올해보다 8명 늘어났으며,7급 행정직(348명)과 기술직(123명)도 예년 수준을 유지했다.9급의 경우 올해보다 행정직은 36%(935→1274명),기술직도 39%(168→234명) 각각 증가했다.
행정안전부 인력개발기획과 하인호 서기관은 “각 부처 수요조사 결과 2200명 이상은 채용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면서 “요구 인력 이상으로 초과 선발할 경우 임용대기기간이 장기화될 수도 있어 협의과정에서 애를 먹었다.”고 털어놨다.
또 내년부터 장애인 의무고용비율이 현행 2%에서 3%로 확대됨에 따라 신규채용에서 장애인이 차지하는 비중도 기존 5%에서 6.5%로 상향 조정됐다.내년 장애인 채용인원은 179명이다.
이와 함께 특정직인 교원은 1만 676명,경찰은 해경 300명을 포함한 2407명 등으로 예년 수준으로 뽑는다.다만 지방자치단체가 선발하는 소방직은 전체 채용 규모를 확정하지 못했지만,현재 2000명선으로 검토되고 있다.
●세무·교정직 ‘경악’
반면 세무직과 공안직은 채용 인원이 큰 폭으로 축소됐다.특히 내년부터 시행되는 근로장려세제(EITC)에 대비해 올해 1500여명(7급 494명,9급 1000명)을 선발한 세무직의 경우 내년에는 이보다 무려 84%나 줄어든 235명(7급 35명,9급 200명)만 선발한다.
교정 등 공안직도 사정은 마찬가지다.올해 1200여명을 선발했던 공안직은 내년에는 515명으로 ‘반토막’이 났다.특히 7급은 올해 127명에서 내년에는 27명으로 79%가 줄었다.9급 역시 1084명에서 482명으로 56% 감소했다.공안직 가운데서는 보호직·철도공안직 등 선발 인원 자체가 아예 없는 세부 직렬도 적지 않다.
행안부 정만석 인력개발기획과장은 “지난해와 올해 이미 충분한 인력을 채용한 만큼 추가 인력을 소화해낼 여력이 없다.”며 채용 인원 축소배경을 설명했다.정 과장은 “세무·교정직은 집행분야이기 때문에 공무원 정원 동결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면서 “세무직의 경우 최근 비정상적으로 많이 뽑아 정상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며,교정직은 법무부에서 요청한 인원 자체가 적은 데다 특수직렬이라 강제 배정도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세무·교정직 수험생,행정직 ‘회귀바람’ 불 듯
이에 따라 세무·교정직 수험생들은 상대적 박탈감과 함께 수험전략 수정 여부를 놓고 딜레마에 빠졌다.이들 직렬 수험생들은 좁아진 취업문을 뚫기 위해 직급을 가리지 않고 수험준비를 병행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7급 세무직 수험생 이모(29)씨는 “그동안 손을 놓았던 행정직 필수과목인 행정법이나 행정학을 다시 공부하려니 막막하다.”면서 “직렬은 물론,급수를 따질 때가 아닌 것 같다.”고 답답해했다.
특히 세무직의 경우 지난해와 올해 수시채용을 통해 3000명에 이르는 신규 인력을 충원,수험가에서는 공직 진출을 위한 ‘블루칩’으로 떠오르기도 했다.때문에 올 들어 기존 행정직 수험생들의 20~30% 정도가 세무직으로 갈아타는 현상도 빚어졌다.하지만 내년에는 올해와 반대로 세무직에서 행정직으로 다시 회귀하는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그잼고시학원 관계자는 “벌써부터 진로를 상담하려는 세무직 수험생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면서 “최소 20% 이상이 행정직으로 되돌아가거나,수험 전략을 수정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또다른 고시학원 관계자는 “652명을 선발하는 우정사업본부의 경우 공사화 여부가 불분명한 상황이지만,일단 일반행정직과 합격선이 비슷하기 때문에 지원하면 다소 유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08-12-25 0:0:0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