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서울시에 따르면 행정2부시장엔 이덕수 균형발전본부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문홍선 주택정책과장,장혁재 정보화기획담당관 등 4급(서기관) 행정직 5명과 기술직 5명은 3급(부이사관) 승진자로 내정됐다.명예퇴직 권고를 받은 행시 22회 이내 간부와 1952년생 2급 이상 고위직 간부들의 일부는 대기 발령을 받을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명예퇴직 권고와 관련,“2급 공무원은 강제 명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이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며 한발 물러섰지만 내부적으로는 이들을 대기 발령낼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직의 세대교체
오세훈 서울시장의 발탁으로 서울시의 기술직을 책임졌던 최창식 부시장은 2년6개월만에 물러난다.또 문승국 물관리국장도 사퇴 의사를 밝혀 기술직에 대한 세대교체의 길을 열어줬다.
최 부시장 후임엔 이덕수 본부장이 유력하다.김영걸 도시기반시설본부장도 거론되고 있다.연령으로는 1~2년 정도 젊어진다.고인석 도로계획담당관과 박성근 건축과장 등 기술직 3급 승진자도 5명이나 내정되면서 연쇄 이동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명예퇴직 권고 진통
서울시는 이날 2급 고위직에 대한 강제 퇴출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대상자들이 공무원 신분 보장을 근거로 명예퇴직 권고를 거부하면 답이 없다는 현실적 근거에서 비롯됐다.일부 당사자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상국 서울시의회 사무처장(1급)과 김찬곤 한강사업본부장(2급),이용선 재무국장(2급) 등이 명퇴 권고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김 사무처장은 용퇴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반면 김 본부장은 크게 반발하고 있다.서울시가 명예퇴직을 권고한 대상자는 10명 안팎.지방자치법상 신분이 보장되지 않는 1급 고위직 1명을 뺀 나머지는 정년이 최소 3년 이상이 남은 상태다.
서울시는 이들이 반발하더라도 대기 발령으로 정면 돌파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서울시의 뜻대로 이번 인사가 순조롭게 진행되면 중폭 이상의 인사가 단행될 것으로 보인다.3급 승진 인사가 20명 이상으로 늘어나는 데다 연쇄적인 승진·전보 인사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오세훈 시장의 친정체제 구축
지난해 정기인사의 기준은 ‘성과’로 요약됐다.하지만 올해는 세대교체와 친정체제 강화로 보인다.한강 르네상스사업을 진두진휘했던 김 본부장의 사직 권고와 올해 신설된 물관리국을 본궤도에 올린 문 국장의 사의 표명이 이를 뒷받침한다.특히 오세훈 시장의 핵심 공약인 한강 르네상스 사업의 수장을 바꾸는 것은 예상 밖의 행보다.사실상 오 시장의 전방위적인 친정체제 구축을 위해 사퇴를 주문한 셈이다.2010년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내년엔 시정 성과물을 내놓아야 하는 만큼 오 시장이 신임하는 인사들이 주요 보직에 포진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명퇴 대상자들이 이번 정기 인사에서 물러나면 오세훈 시장의 친정체제가 한층 공고해지면서 시정 개혁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오 시장의 측근그룹으로 인식되고 있는 C·S·Y모 국장 등 ‘젊은 국장’들의 영향력도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김경두기자 golder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