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2개마을 뽑혀… 9년 연속 전국 최다 영예
‘효녀 심청의 고장’ 전남 곡성군이 매년 ‘범죄 없는 마을’의 신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4일 곡성군에 따르면 지난해 지역 22개 마을(전남도 전체의 64%)이 범죄 없는 마을에 선정되는 등 최근 9년 연속 범죄 없는 마을의 최다 선정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 말에도 고달면 가정마을 등 20여개 마을이 5년 연속 선정될 것으로 보여 곡성군의 최다 기록 경신은 계속될 전망이다.
1980년 시작된 범죄 없는 마을 사업은 만 12세 이상 주민이 50명 이상인 마을을 대상으로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단 1건의 범죄도 발생하지 않은 곳을 선정하는 사업이다.지방검찰청의 꼼꼼한 심사를 통해 결정된다.
대상 마을은 검찰에 의한 공소제기나 기소유예,기소중지,소년부 송치뿐 아니라 고소,고발,진정 등 어떤 범죄라도 1년 동안 전혀 없어야 한다.특히 범죄자가 실제로 해당 마을에 거주하지 않은 채 주민등록상에 등재만 됐더라도 범죄 없는 마을에서 탈락하는 등 심사 절차가 까다롭다.
그러나 선정만 되면 자립지원금과 도·군비가 적지 않게 지원돼 마을 숙원사업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곡성군이 범죄 없는 마을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1980년 곡성읍 동산마을과 삼기면 금계리 등 2곳이 선정되면서부터다.27년 동안 모두 146개 마을이 331차례나 범죄 없는 마을로 뽑히며 전남도 전체(887회)의 37%를 차지했다.
삼기면 금계리는 그동안 무려 8차례나 범죄 없는 마을에 선정되면서 ‘최다 수상’이란 영예를 안았다.10여개 마을이 5~7차례 선정되기도 했다.
이처럼 곡성군이 범죄 무풍지대가 된 것은 사실 주민의 고령화가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젊은층이 많이 모여 사는 마을은 여러 가지 일을 둘러싸고 시시비비나 주먹다짐이 일기 마련이다.그러나 5년 연속 기록 달성을 앞둔 고달면 가정마을의 경우 전체 21가구 69명의 주민 대부분은 60~70대 고령이다.
이 마을 김봉우(57) 이장은 “옆집 숟가락 개수까지 아는 사이에 주민간 다툼이란 있을 수 없다.”면서 “주민끼리 사소한 갈등이 발생하더라도 마을회의 등을 통해 풀어 나간다.”고 말했다.
곡성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1-5 0:0:0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