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문화공간 지역도서관
“우리 도서관 가서 커피 한 잔 하고 책 한 권 읽을까요?”“엄마! 빨리 도서관 가요. 책읽기 모임이 벌써 시작됐어요.”
어느 나라 이야기일까? 최근 2~3년 사이에 수도권에 정착되고 있는 새로운 문화형태다. 신도시에는 아파트만 높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동네마다 크고 작은 도서관들이 지어졌다. 그리고 지역 커뮤니티 형성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정착하고 있다.부럽다고 질투하지 마라. 올해 당신이 살고 있는 동네나 아주 가까운 주변에 근사한 도서관들이 생겨날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 6일 발표한 ‘도서관 선진화’계획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 크고 작은 도서관 182개가 개관하거나 시설이 완공된다. 전국적으로 대형 공공도서관이 63개, ‘작은 도서관’이 119개다. 전국 16개 시·도에 따르면 이 가운데 공공도서관은 올해 52곳이 문을 열 예정이다.
●올해 전국 182곳 개관·완공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위원장 한상완)가 2013년까지 계획한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따른 것이다. 도서관 서비스 수준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선진국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재정 등 4354억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정부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가 779억원, 교육과학기술부가 405억원, 국방부가 52억원을, 16개 시ㆍ도에서는 경기도가 990억원으로 가장 많은 재정을 투입하는 가운데 경남 626억원, 서울 430억원, 전남 334억원, 대구 333억원 등의 순이다. 또한 올해 전체 장서 510만여권을 확충하는 등 2013년까지 국민 1인당 장서를 선진국의 1인당 1.5~2권 수준까지 끌어 올린다는 계획이다.이를 위해 올해 국고·지방비·민간투자부문을 합쳐 5428억원을 투입한다. 학교도서관의 경우 학생 1인당 장서를 12.5권을 목표로 2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문화부 도서관정책과 관계자는 “이같은 계획은 도서관이 과거처럼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이나 재수생, 취업 준비생들의 독서실이 아니라 지역 주민들과 소통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되도록 해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선진사회로 가기 위해서는 소프트 파워가 중요한데 소프트 파워는 책을 많이 읽고 생각을 깊게 한 결과물로서의 창의력이 발휘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독서실 분위기 벗고 지역문화 허브로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09-1-10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