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광산구 신창동 H아파트 주민들은 자발적인 탄소저감 운동을 펴고 있다. 이 아파트 단지는 전체 360가구 중 316가구가 광주시와 광주은행간 협약에 따라 마련된 ‘탄소은행제’에 참여하고 있다. 주민들은 지난해 5월 전기와 도시가스 사용량을 줄인 만큼 돈으로 되돌려 주는 ‘그린카드’를 발급받았다.
●일상 생활에서 줄이자
이 제도는 1년간 전기 사용량을 전년도(2007년)치와 비교해 5% 이상 절감한 가정에 ㎾당 70원을 현금으로 되돌려 준다. 5% 이하일 경우는 ㎾당 50원이다.
아파트 주민 이모(여·48)씨는 “처음엔 별 생각 없이 가입했으나 에너지 절약이 지구온난화를 예방한다는 사실을 알면서 이웃에게도 이를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며 “평소 하루 평균 12㎾의 전기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1~2㎾ 정도 줄였다.”고 말했다.
김모(50)씨는 “반상회를 거듭할수록 온실가스 문제가 더이상 ‘남의 일’이 아님을 깨달았다.”며 “에너지 절약운동이 캠페인에 그치지 않고 생활속에 뿌리내렸으면 한다.”고 말했다.
시는 당초 그린카드제 시행 기간인 2012년까지 연간 1만명씩 5만여명을 참여시킨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온난화의 심각성에 대한 주민들의 이해가 커지면서 참여율도 높아졌다. 1월 현재 올 목표치인 2만여명을 넘어서자 3만명으로 1만명을 늘려 잡았다.
●에너지 사용량 10% 줄일 수 있을 것시로서는 예산 한푼 안 들이고,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은 가정·상업용(전체의 40%) 에너지 절약을 꾀할 수 있게 된 셈이다.
서울 등 각 지자체와 정부 부처가 광주가 운영 중인 이 제도를 잇따라 견학했다. 일부 지자체는 최근부터 이를 도입, 시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환경단체와 시민 등으로 구성된 ‘그린스타트 네트워크’도 다음달 중 출범한다.
‘광주 기후지킴이’(가칭)로 활동하게 될 회원들은 ▲탄소은행 활성화 ▲녹색교통 녹색 소비 시민 서약운동 ▲자전거 생활화 ▲1000만그루 나무심기 등 저탄소 생활화 운동을 편다.
광주시는 2013~2014년 세계환경엑스포와 세계수소에너지대회를 여는 등 신재생 에너지 사업 육성을 통해 조만간 닥칠 탄소배출권 거래 시대에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이정삼 광주시 기후변화대응과장은 “민·관이 이 분야에 대해 꾸준한 관심과 투자를 이어갈 때 현재 연간 660만t인 광주지역의 에너지 사용량을 600만t 정도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성패여부는 주민과 기업의 자발적 참여에 달렸다.”고 말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1-14 0:0:0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