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는 이를 위해 지난달 23일부터 일자리 창출 업무를 총괄할 ‘비상경제상황실’ 운영에 들어갔다.
총 77억원의 예산을 확보하고, 이달부터 90개 직종에서 3232개의 일자리를 만들어 제공한다. 이번 일자리 제공은 연령에 관계없이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구는 행정서포터스·지역사회 서비스 바우처·사회복지 행정지원 등 36개 부문사업에 청년 1048명을 선발한다. 또 어린이 안전지킴이·컴퓨터 강사·초등학교 급식도우미·실버뷰티·생태체험지도 등 27개 분야에서 노인 1900명을 뽑는다.
편의시설 모니터링 등 장애인들을 위한 맞춤형 일자리도 늘렸다. 장애인들이 사회생활을 미리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공공기관 행정도우미 체험·복지일자리 사업 등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장애인 15명이 서대문구 14개 동 주민센터에서 사회복지 담당직원과 함께 상담, 서류작성 등 장애인 복지관련 업무를 맡고 있다.
남가좌2동 주민센터 사회복지과에서 일하는 이정렬(4급지체장애)씨는 “항상 민원을 내는 입장이었는데 막상 장애인 복지업무를 맡게 되니 보람도 있고 책임감이 더 든다.”고 말했다.
구는 노인들이 사회복지관에서 식사와 음료를 파는 ‘실버카페테리아’ 사업을 확대한다. 이번 사업 확대는 지난해 문을 연 뒤 실버카페테리아가 하루 평균 40만원대의 매출을 올릴 만큼 성공을 거둔데 따른 것이다.
현재 홍은종합사회복지관에 별관 건물을 마련하고 시장조사·경쟁상품 현황·원재료 구입방안 등 사전조사를 마친 상태다.
특히 구는 이번 카페테리아 사업이 노인들을 단순고용하는 차원이 아니라 재료를 구입하는 등 직접 사업경영에 참여하게 하는 것이기에 노인참여율이 더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동훈 구청장은 “이번 일자리 늘리기 사업을 통해 청년뿐 아니라 노인과 장애인 등 소외계층이 사회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근로 기회를 제공하는 데 구의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