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구는 6일 청사 광장에서 이만의 환경부 장관과 환경운동단체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생활쓰레기 자동화 처리시스템(이하 ‘생생하우스’·서울신문 2월25일자 1면 보도) 시운전을 이틀째 실시해 호평을 받았다.
●재활용품 많을수록 처리 비용 덜어줘
남구가 시범 운영에 들어간 ‘생생하우스’란 생활쓰레기를 재활용, 일반·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분리 배출한 뒤 재활용품이 많을수록 처리 비용을 덜어주는 자동화 시스템이다. 처리 방식도 현재의 부피 중심에서 무게 중심으로 바뀌었다. 주민들이 일반 봉투에 쓰레기를 담아 생생하우스에 내놓으면 무게에 따라 배출 비용이 자동 정산된다.
남구는 당초 다음달부터 쓰레기 종량제 봉투 대신 직접 발급한 스티커를 이용해 생활폐기물을 처리할 예정이었으나 생생하우스 체제가 구축될 때까지 관급봉투를 당분간 사용할 방침이다.
●정착 되면 종량제 봉투 대신 바코드 스티커로
남구 관계자는 “시험가동 결과 생생하우스 시스템이 예상보다 안정적으로 작동한 만큼 이를 아파트단지로 확대 설치하는 데 많은 시일이 걸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그 중간 단계에 도입 예정이던 스티커 발부 방식을 재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남구는 이 제도가 도입되면 연간 쓰레기 규격봉투 제작비 2억 4000만원(전국 491억원)이 절감되고, 배출량과 재활용률은 각각 20%와 300%로 높아질 것으로 분석했다. 시운전에 참석한 이만의 장관도 “광주 남구가 생활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혁명적으로 개선했다.”면서 “이 문제는 남구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정책인 만큼 타당성이 인정되면 최대한 신속하게 지원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
2009-3-7 0:0: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