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기획재정부와 은행연합회 등에 따르면 정부는 급여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금융공기업 등 공기업들의 임금 수준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재정부 관계자는 “기존 직원을 제외한 채 신입사원의 임금을 삭감하는 것은 형평성 등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기존 직원의 임금을 깎는 방안 등에 대해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여기에는 기존 직원들의 임금 삭감이 공기업에서 시작돼 민간기업으로 점차 확산, 궁극적으로 한국 경제의 고질적 문제인 고비용 구조가 해결됐으면 하는 바람이 자리한다.
국책은행인 한국수출입은행 김동수 행장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기존 직원의 임금 삭감 문제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심도있게 검토를 진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은행연합회 측도 “기존 직원들의 임금 삭감 문제와 관련해 다음 주 초에 금융노조와 2차 중앙노사위원회를 열어 구체적인 논의를 해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노조 측은 그러나 “작년에 임금을 동결했기 때문에 올해 삭감은 어렵고, 이미 기존 직원들도 급여 반납을 통해 고통 분담에 동참했다.”며 부정적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노총 우문숙 대변인도 “지금은 수출이 어려워 내수로 위기를 극복해야 하는데 근로자들의 임금을 줄이면 내수기반이 무너져 더 큰 위기가 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민간기업 중에서는 이날 SK에너지 울산공장 연봉제 사원들이 연봉의 5%를 자진 반납하기로 결의했다. 팀장급 직원 250여명도 급여의 5%를 내놓기로 했다.
안미현 김경두기자 hyu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