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무 시달리며 인센티브 없어 직원들 기피부서 1위
“하루 종일 전화에 시달리고, 저녁에는 사이버 상담까지 해주다 보면 진이 빠져요.” 식약청 콜센터 직원의 하소연이다.식약청 내에서 콜센터는 인기 최하위 부서로 꼽힌다. 격무에 시달리는 데다 인사고과에 반영되는 인센티브도 없다. 인사이동 때마다 지원자가 거의 없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식약청 콜센터 직원은 주로 6~7급 공무원들이다. 콜센터라고 해서 처음부터 전문교육을 받은 상담원일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모두 일반 공무원들이다. 그렇다고 아무나 콜센터 업무를 맡는 것은 아니다. 해당 과에서 최소한 4~5년 경력을 쌓은 사람만 가능하다. 상담내용이 주로 식품 수입업체, 의약품 제조업체 등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인 내용이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의료기기 분야 경력자들 15명으로 구성된 콜센터에서 하루에 소화하는 상담량은 650통. 콜센터 오픈 당시 400통에 조금 못 미쳤던 것이 4년 만에 50% 이상 증가했다. 실제 걸려오는 전화는 700통이 넘지만 다 해결하지 못한다. 식약청 소비자담당관실 금보연 과장은 “현재 상담 소화율은 90% 수준이고 나머지는 다음날로 미뤄진다.”고 말했다. 전화상담이 끝나는 6시 이후엔 사이버 상담실에 올라온 게시물에 대한 답변을 해줘야 한다. 사이버 상담실에도 하루 100건이 넘는 글이 올라온다. 이처럼 격무에 시달리다 보니 콜센터 직원들의 몸과 마음이 지치고 사기도 저하될 수밖에….
비슷한 업무를 처리하는 관세청이나 특허청의 콜센터 사정은 다르다. 관세청은 2007년 이전까지는 인사고과에서 0.02점을 부여했고 요즘은 3년 이상 콜센터 근속시 다른 방법으로 인사상 인센티브를 주고 있다. 식약청 한 관계자는 “콜센터 직원들의 업무에 부하가 많이 걸리는 것은 사실”이라며 “사기진작과 근무 형평성을 위해서도 인센티브 부여 등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민영기자 min@seoul.co.kr
2009-6-4 0:0:0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