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국가정보원, 방송통신위원회 등은 7~8일 청와대 등 주요 정부기관과 민간사이트 35곳을 무더기로 공격해 접속을 중단시키고 인터넷뱅킹 등 서비스 장애를 일으키게 한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위협 ‘주의’ 경보를 발령했다고 8일 밝혔다.
행안부와 국정원은 이날 공동으로 모든 행정기관에 DDoS 주의 경보를 발령하고 모든 공무원 개인컴퓨터에 해킹 트래픽(해킹으로 인한 접속 부하상태)을 긴급 점검하도록 조치했다. 또 대전 통합전산센터에는 DDoS 대응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정부 각 부처에 대한 DDoS 공격을 실시간으로 감시·차단하기로 했다. 이미 DDoS공격을 받은 부처에 대해서는 민관 합동으로 특별 감시체계를 가동해 대응토록 했다.
이와 함께 행안부는 올 연말까지 DDoS에 취약한 국세, 외교, 경찰, 관세, 보건, 교육, 특허, 국토·해양 분야 등에 대응 체계를 완전 구축할 방침이다.
한편 정부 일각에선 기관별로 분산 대응해오던 해킹 대응체계의 ‘컨트롤타워 부재’가 이번 사고를 불렀다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행안부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활성화된 DDoS 공격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많이 미흡했던 게 사실”이라고 털어놨다.
강주리기자 jurik@seoul.co.kr
2009-7-9 0:0:0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