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광주·전남지역 지자체에 따르면 최근 신종플루 여파로 20개에 달하는 행사를 취소·연기를 발표했으나 정부의 지침 변경으로 이를 다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광주시는 이미 취소·연기했던 국제행사의 개최 여부를 14일쯤 최종 결정한다. 시는 최근 세계광엑스포(10월9일∼11월5일)를 내년 봄으로 연기했으며, 디자인비엔날레(9월18일∼10월11일)와 김치문화축제(10월23일∼11월1일)도 축소키로 했었다.
광주 동구, 남구도 취소하기로 했던 제6회 충장축제, 효사랑녹색문화산업전(9월23∼27일)을 다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전남도 내 지자체들도 사정은 비슷하다. 최근 연기된 가을 축제는 ▲광양 전어축제 ▲남도 음식 문화 큰 잔치 ▲나주 영산강 문화축제 ▲순천만 갈대 축제 ▲지리산 피아골 단풍 축제 ▲보성 소리 축제 등 20개에 달한다. 그러나 신안군의 경우 12일 개막 예정이었던 ‘제3회 흑산 홍어축제’를 다시 개최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는 상황이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정부가 방침을 번복하는 바람에 고심 끝에 행사를 취소·연기한 지자체들이 신인도 하락은 물론 막대한 경제적·행정적 손실을 보게 됐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11일 내놓은 ‘신종플루 대비 지자체 축제 및 행사 운영지침’에서 폐쇄된 실내공간에서 개최되면서 만5세 미만의 영·유아, 65세 이상 노인, 임신부, 만성질환자,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하거나 감염 예방조치를 시행하기 어려운 지자체의 축제·행사는 가급적 취소·연기할 것을 권고했다. 이 밖의 행사는 지자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했다.
한편 행정안정부는 지난 3일 ‘연인원 1000명 이상 참석, 이틀 이상 열리는 행사는 가급적 취소하고 불가피한 경우에는 행사를 연기하거나 규모를 축소하라.’며 이를 따르지 않으면 재정지원 축소, 담당자 인사조치 등을 취하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전국 지자체에 발송했었다.
광주 최치봉기자 cbcho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