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만t 과잉생산… 가격하락 우려 직원 3분의 2 열매솎기 등 동원
제주 서귀포시 공무원 H씨는 요즘 매일 시청이 아닌 감귤밭으로 출근한다. 23일에도 구슬땀을 흘리며 농부들과 함께 감귤 열매 솎기 작업을 했다. 심지어 감귤밭에서 바로 퇴근을 하기도 한다. 시청 공무원 3분의 2가량이 이렇게 매일 감귤 열매 솎기 작업에 투입되고 있다.제주도가 2009년산 노지감귤의 결실 상태를 지난달 17∼25일 관측조사한 결과 적정선보다 9만 6000t이 많은 67만 6000t가량 생산될 것으로 전망해 감귤 대란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10㎏당 평균 가격이 7101원까지 폭락한 지난 2007년 생산량과 비슷한 규모이다.
또 올해는 잦은 강우와 일조량 부족 등으로 당도 하락 등 감귤의 품질마저 떨어질 것으로 보여 가격 하락에 대한 우려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도는 과잉생산에 따른 가격 폭락을 막으려고 열매 솎기와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감귤 유통 차단 등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도는 공무원과 희망근로자 등 3만여명을 감귤밭에 투입해 열매 솎기에 나서는 한편 공무원과 생산자단체, 민간인 등으로 74개 단속반을 편성해 내년 3월까지 24시간 비상품 감귤 단속을 벌이기로 했다.
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도 최근 비상품 감귤은 사지도 팔지도 않고, 상장을 거부한 뒤 반송조치하겠다며 제주도에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제주도 관계자는 “대규모 감산이 이뤄지지 않으면 가격 하락이 불가피하다.”면서 “농가를 대상으로 감귤원 매일 출근하기, 열매 솎기 일손돕기 운동 등을 계속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이젠 지자체가 감귤시장에서 손을 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감귤 농가 스스로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언제까지 행정력으로 감귤 가격을 지켜갈 수는 없다는 지적이다.
한편 도는 노지감귤의 적정 연간 생산량을 58만t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는 73만 9000t 생산된 2002년 농가 총수입이 2056억원에 그친 반면 53만 7000t이 출하된 2004년에는 총수입이 4471억원에 이르러 생산량과 농가 소득이 반비례하기 때문이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9-9-24 0: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