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홍시·감와인… 먹어도 먹어도 질리지 않아요
경북 청도는 ‘감의 고장’이다. 전국 유일의 씨 없는 감, 반시(盤枾)로 유명하다. 청도 반시는 타지에서 나는 감에 견줘 육질이 연하고 단물이 많아 전국 제일의 홍시로 명성이 높다. 식재 후 3년이면 수확이 가능하며 청도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 재배하면 씨가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시는 쟁반처럼 납작하게 생겼다 해서 이름 붙여졌다.청도는 요즘 한 해 중 가장 바쁜 반시 수확철을 맞았다. 5400여 농가가 1983㏊에서 반시 수확에 한창이다. 300여 반시 가공업체들은 물량 확보에 여념이 없다. 지역 농가는 물론 우체국과 택배회사들도 전국에서 몰려드는 반시 택배 주문으로 즐거운 비명이다. 청도 반시 소비자들은 지금쯤 산지에서 상자째 싸게 사서 가을철 후식 또는 간식거리로, 냉동시켜 아이스 홍시를 만들어 먹으면 좋다는 것을 알고 있다. 때문에 청도 반시 수확철을 절대 놓치지 않는다. 10㎏(60~70개) 상자당 가격은 1만 2000원 정도.
비타민 A, C와 구연산 함량이 풍부해 숙취, 감기, 충치 예방과 시력 회복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청도 반시는 홍시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가공식품으로도 개발돼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감말랭이·곶감·아이스홍시·과육퓨레·감카스테라·감식초·감와인·감동동주·감막걸리·감초콜릿·감잎차·감선식·감화장품 등 20여개 품목으로 다양하다.
특히 청도 반시를 건조시켜 만든 감말랭이와 아이스홍시·감와인 등은 국내는 물론 일본과 미국, 캐나다 등지로도 수출돼 현지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청도 감을 원료로 한 순수 국산 화이트와인인 ‘감그린’은 이명박 대통령 취임식 경축연회의 건배주로 사용돼 우수성을 또 한번 확인시켜 줬다.
조기동 청도군 감 담당은 “해마다 청도 반시 수확철이면 서울·부산 등 전국 각지 소비자들의 주문 쇄도로 물량이 달릴 정도”라며 “연간 650억원의 고소득을 올리는 지역 특산품인 청도 반시가 고부가가치 가공식품으로 개발돼 판매되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 소득은 1000억원대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도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09-10-29 12:0:0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