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자유구역에 사활을 걸고 있는 인천시는 세종시의 성격과 기능이 경제자유구역과 유사하게 거론되는 것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정부가 세종시에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줄 경우 기업들의 발길이 세종시로 몰려 경제자유구역에 기업과 교육기관을 유치하는 데 차질을 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송도에 연세대 외 타대학 입주 차질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그동안 외국기업과 국내 대기업들을 유치하기 위해 물밑 작업을 벌여 왔다. 하지만 정부가 세종시에 대기업 유치 의지를 강력히 내비치면서 공을 들여온 기업들이 세종시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교육기관의 경우 송도경제자유구역에 국제화복합단지를 착공한 연세대를 제외한 나머지 대학은 입주 자체가 애매해진 상태다.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필요한 국고보조 감소도 우려한다. 정부 예산이 한정된 상황에서 세종시를 집중 지원하면 상대적으로 국고보조가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정부가 선택과 집중 차원에서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해 놓고 세종시에 올인하면 개발이 본궤도에 오른 경제자유구역이 직격탄을 맞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 도내 기업들 세종시 이전 우려
경기도 역시 정부가 세종시 입주기업에 부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고 규제완화 방안을 검토하자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도내 기업들이 비싼 땅값과 각종 수도권 규제를 피해 세종시로 이전하고, 투자유치와 산업단지 분양 등의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우려에 대해 조원동 세종시 기획단장은 “세종시 이외에도 균형발전 차원에서 해왔던 정책들은 유지해야 한다는 데 세종시 민관합동위원들이 합의를 봤다.”고 말했다.
김학준 강주리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