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는 ‘제주국제공항을 확장하더라도 2025년에는 포화 상태가 돼 이전에 신공항 건설의 타당성을 검토해야 한다.’는 한국교통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가 나옴에 따라 신공항 건설사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라고 3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증가와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효과 등으로 제주공항을 이용하는 항공편 운항횟수와 여객이 2007년 9만 3000회 1230만명에서 2025년 16만 1000회 2110만명으로 늘어나 현재 진행 중인 공항시설 확장이 마무리되더라도 2025년에는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교통연구원은 포화상태가 될 때까지는 기존 시설을 최대한 확장해 효율적으로 사용하되 수요 증가에 대비해 포화상태에 이르기 10년 전인 2015년부터 신공항 건설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정부는 연구결과를 내년 말 확정, 고시하는 ‘제4차 공항개발 중장기종합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도는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에 가칭 ‘신공항 건설 준비기획단’을 발족하고, 자체 예산 4억원을 들여 전문기관에 제주 신공항 건설구상 용역을 맡겨 그 결과를 정부에 제출할 방침이다.
제주 황경근기자
kkhwang@seoul.co.kr
2009-12-4 12:0:0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