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 인해 지하 수압이 줄어 지반침하 현상이 나타나고 건물 안전에도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다. 또 토양의 수분 부족으로 식물 성장이 저하돼 지표환경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서초구는 이처럼 지하수 고갈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친환경 보도조성 등 지하수 보존 대책을 마련, 시행한다고 27일 밝혔다.
우선 구는 빗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 수 있도록 수분이 잘 흡수되는 재질의 친환경 보도를 확충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구는 시범적으로 신반포로와 사평로를 잇는 488m구간 신설도로에 폭 4m의 보도블록을 깔고 인근에 잔디를 심었다.
또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는 빗물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내년까지 서초약수터 주변 등 5곳에 빗물저류시설(빗물을 모아 재활용하는 장치)을 설치한다. 이렇게 가둔 물을 도로 청소나 녹지대 등에 물을 공급하는데 활용하기로 했다. 아울러 지하수 관리요령에 대한 안내책자를 제작·배포해 지하수질 보전에 대한 주민들의 관심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구 관계자는 “우리나라는 유엔에서 지정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될 정도로 지하수 확보가 필수적인 상황인데도 각종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등이 빗물의 흡수를 저해하는 비투수성 재질로 포장돼 있어 물이 스며들지 못하고 하수도로 버려지고 있다.”며 “맑고 깨끗한 지하수를 다음 세대에 물려줄 수 있도록 지하수량 확보는 물론 수질 개선사업도 지속적으로 펼쳐 나가겠다.”고 말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