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섭섭하게, 그러나/아조 섭섭ㅎ지는 말고/좀 섭섭한 듯만 하게, (중략) 엊그제/만나고 가는 바람 아니라/ 한두 철 전/만나고 가는 바람같이….”라는 시구로 한해를 보내는 아쉬운 마음과 오랜 인연으로 생각하자는 뜻을 직원들에게 전달했다.
그는 또 조병화 시인의 ‘해마다 봄이 오면’을 신년 메시지로 보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라는 인사말과 함께 “오, 해마다 봄이 되면/어린 시절 그분의 말씀/항상 봄처럼 새로워라/나뭇가지에서, 물 위에서, 뚝에서/솟는 대지의 눈/지금 내가 어린 벗에게 다시 하는 말이/항상 봄처럼 새로워라”라는 시 한편만 전했다. 다른 군더더기 한 마디 없었다.
신년사 대신 시를 받은 행안부 직원들은 “참신하다.”는 반응들이다. 부 이사관급의 한 과장은 “의례적으로 발표되던 그동안의 어느 신년사보다 장관의 뜻이 잘 전달돼 마음에 와 닿았다.”고 말했다.
이동구기자 yidonggu@seoul.co.kr
2010-01-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