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는 먼저 2008년 6월 만든 ‘간판 공동디자인센터’를 중심으로 새롭고 아름다운 디자인을 본격적으로 보급한다. 또 간판제작 설치비를 시중가격의 80%선에서 공급, 영세한 점포주들의 부담을 덜어주기로 했다.
센터에서는 월 82건의 간판디자인 상담을 하고 25개 간판을 제작해 설치했으며, 설립 이후 현재까지 모두 357개의 간판을 정비하는 등 ‘간판 정비의 핵심’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또 좋은 간판 디자인 홈페이지 구축과 가이드라인 제작으로 새로운 거리환경 조성에 나서고 있다.
점포 주인이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좋은 간판 디자인 홈페이지를 개발, 업종·형태별 디자인을 제공한다. 좋은 간판 글꼴과 디자인을 손쉽게 수정 활용토록 일러스트파일로 간판디자인을 개발했다.
이와 함께 불법광고물 사례 안내 및 각종 광고물 인허가와 관련된 서식 등을 게시해 광고주 또는 광고업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또 좋은 간판 가이드북을 제작 배포해 간판디자인 가이드라인 홍보에도 적극적이다.
항목별로 5개(요식업, 의류잡화, 교육 및 의료, 생활서비스, 부동산중개업소)로 권장디자인과 표준 디자인을 분류해 제시하고 권장 서체 및 색체의 표준 모델도 제시했다.
이밖에 구는 점포주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시범가로 및 집합상가 건물’ ‘동별 디자인 거리’ 간판정비 사업을 통해 간판 제작비의 70%를 지원해 줬다. 이로 인해 어렵게만 추진되던 간판정비 사업이 한층 탄력을 받고 있다.
손수곤 도시디자인과장은 “점포주와 마찰을 빚어 어려움을 겪고 있던 간판정비 사업이 구의 다양한 지원으로 탄력을 받고 있다.”면서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11월까지 4차선 이상 도로가에 있는 모든 점포의 간판을 선진국 수준으로 정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