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는 2일 정보통신기술(ICT)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행정협업시스템’ 구축 계획을 밝혔다. 이 시스템은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주요 연구기관 등에 적용되며, 복수의 기관이 컴퓨터 및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사이버상의 가상 업무공간인 ‘협업 일터’에서 정책·사업별 업무를 공동으로 볼 수 있게 된다.
협업 일터에서는 소속 부처가 다르더라도 함께 진행하는 업무에 대한 협의, 보고서 작성, 결재 등이 가능하다. 현재 각 부처에 마련된 화상회의실과 서울 도봉구, 성남 분당구의 원격 복합업무시설인 스마트워크센터에서도 공동 업무를 볼 수 있다. 또 공무원에게 지급하는 개인 컴퓨터에 화상카메라를 설치, 개인 사무공간에서도 언제든지 화상회의 등 협업이 가능토록 할 계획이다. 스마트폰을 통한 업무는 보안 문제를 해결한 뒤 실시하기로 했다.
행안부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서울, 과천, 대전 등에 분산돼 있는 정부청사의 업무 통합은 물론 2012년부터 주요 부처가 세종시로 이전하더라도 합동회의 및 보고, 결재를 위해 서울과 각 지방청사까지 방문해야 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박동훈 행안부 제도정책관은 “최근 정부가 추진하는 대부분의 사업은 4대강 정비, 세종시 건설 사업처럼 복수의 부처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다.”면서 “지금처럼 서로 다른 지역에 분산된 기관 관계자들이 회의 등을 이유로 한자리에 모이면 교통 및 숙박 등 부대비용이 발생하고 시간도 많이 든다.”고 협업시스템 구축 필요성을 강조했다.
행안부는 약 50억원의 예산을 투입, 내년 4월까지 공동업무 개선방안을 수립하고 세부적인 시스템 구축계획을 세울 방침이다. 내년 말까지 시스템을 개발해 시범서비스를 시작하고, 2012년 12월까지 중앙부처 및 전국 지자체 등에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중앙부처의 한 관계자는 “협업 시스템이 도입되면 행정력 분산 우려를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기관이 주요 정책들을 공동으로 추진, 관리함으로써 행정업무의 효율성과 투명성도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국기자 psk@seoul.co.kr
2010-12-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