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 얼굴·자료 또렷이… 소통 ‘무난’
세종시 시대 개막 초읽기에 들어간 국무총리실이 영상회의 시스템을 시연했다. 첫 영상회의로는 무난했다는 평이지만 대면회의처럼 실효성 있는 방안모색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
국무총리실의 세종시 이전을 3일 앞둔 12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대회의실에서 임종룡 국무총리실장이 확대간부 영상회의를 시연하고 있다. 손형준기자 boltagoo@seoul.co.kr |
이들 부서들은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 지식재산전략기획단 등으로 14일 밤 세종시로 떠난다. 해당 부서 주무 국장들은 청사 주변의 사무실에서 각각 개인 컴퓨터를 영상회의 시스템에 접속, 회의를 주재한 임종룡 국무총리실장 등에게 영상으로 보고했다.
회의가 시작되자 대회의실 가운데 설치된 대형화면에는 첫 보고에 나선 세종시지원단의 양홍석 총괄기획관과 임 실장의 얼굴 모습이 각각 화면 한쪽에 나왔다. 세종시 이전과 관련된 보고 자료가 화면 가운데를 차지했고, 양 기획관의 보고에 따라 주요 내용에 빨간 줄이 쳐지기도 했다.
김정민 세종시 지원단장은 “이날 사용된 방식은 행정내부망에 연결된 업무용 컴퓨터에 영상회의 소프트웨어를 설치한 간이 영상회의 방식”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세종시, 세종로, 과천청사 등으로 분산된 행정역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영상회의를 상시화할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영상회의 활용의 성패는 도청 방지 수준을 높이고, 심도 있고 내밀한 대화를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시켜 나가는 데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영상회의 시스템이 사전에 조율된 내용을 통과시키는 형식적인 정례 회의체뿐만이 아니라 시급한 현안 대책과 막후 조정 및 조율을 위한 실무자들의 소통에도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갈 길이 멀다.
임 총리실장은 “각 부처에서 다양한 영상회의가 적극 활용되도록 지원시설 확대 및 투자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면서 “총리실이 이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석우 선임기자 jun88@seoul.co.kr
2012-09-1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