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길 막막한 이웃에 나침반 되어주기
경기 화성시 A초등학교 4학년인 B군은 2명의 동생과 함께 외할머니 품에서 산다. 의류사업을 하던 어머니가 사업실패로 11개월째 교도소에 수감 중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할머니도 뇌경색과 백내장 등을 앓으며 몸이 쇠약해져 이들을 돌볼 처지도 아니었다. 게다가 3개월째 월세를 못내 집주인의 독촉에 힘든 삶을 살고 있었다.B군 가족의 딱한 처지를 알게 된 화성시 무한돌봄센터는 우선 B군 가족에게 소년소녀가장 전세 임대를 알선해 주는 등 주거문제를 해결해줬다. 이어 외할머니를 기초수급자로 선정해 경제적 안정도 이루게 했다. 어머니의 갑작스러운 수감으로 정신적 충격을 받았던 B군은 현재 시 정신보건센터에서 심리 치료를 받고 있다. 나머지 동생들도 지역 아동센터와 드림스타트의 도움으로 방과후 학습지도를 받으며 예전의 웃음을 찾아가고 있다.
2010년 4월 문을 연 화성시 무한돌봄센터가 위기 가정의 ‘희망의 빛’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달까지 위기가정 1550가구를 발굴해 경제적·정신적 자립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줬다.
무한돌봄 사업은 기초생활보장, 한시적 생계구조, 긴급복지 지원 등 정부의 저소득층 지원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차상위계층의 가정에 위기가 닥쳤을 때 주거비와 복지비, 교육비 등을 긴급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화성시 무한돌봄센터는 발굴한 위기가정에 대해 짧게는 1개월에서 길게는 1년 이상 지속적인 관리를 통해 자립할 수 있도록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화성시는 본청에 총괄센터를 두고 권역별로 4개 네트워크팀을 운영하며 도움이 절실한 위가가정 발굴 및 관리에 힘을 쏟고 있다. 이런 노력 덕분에 센터는 최근 보건복지부가 230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한 희망복지지원단 업무성과 평가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출범 당시부터 센터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강남지 주무관은 “무한돌봄이란 어려운 이들의 손을 따뜻이 잡아주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앞으로 만들어 가야 할 희망”이라고 말했다.
김병철기자 kbchul@seoul.co.kr
2012-12-05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