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물·슬러지 등 자원화, 연간 10억 이상 수익 올려
서울 등 전국 지자체들이 음식물쓰레기 대란을 우려하는 가운데 강원 춘천시는 오히려 음식물 쓰레기로 돈을 벌어들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시는 1993년 런던협약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에서 나온 폐수(음폐수)나 하수처리시설에서 나온 슬러지의 해양투기 금지를 앞두고 2005년 말 근화동 하수처리장 인근에 국비 등 46억원을 들여 음식물자원화 시설을 준공했다. 음폐수는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연결돼 하수 처리된다.
또 2010년까지 해양배출업체에 연간 10억원가량의 비용을 주고 하수종말처리장에서 나온 슬러지 일명 오니를 처리했지만 2011년부터는 오히려 돈을 벌고 있다. 2010년 말 신동면 혈동리 환경공원 내에 국비 등 115억원을 들여 하수슬러지 자원화 시설을 갖췄기 때문이다. 시는 지난해 3200t의 슬러지를 건조, 이를 시멘트 회사의 원료 보조제로 매각해 4000여만원을 벌었다. 올해는 입찰에서 가격이 t당 1만 5000원으로 더 높아진 데다 생산량도 4800t으로 늘어 7000여만원의 수익이 예상된다. 시는 또 신동면 혈동리 환경공원 내 재활용품 선별시설을 통해 지난 한해 동안 13억원의 수익을 올렸다.
변승권 시 하수운영과장은 “위탁업체의 처리 비용 절감까지 포함하면 연간 10억원 이상의 예산 절감 효과가 있다”며 “환경변화를 예고하고 선제적 시설 투자를 벌인 결과”라고 말했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13-01-23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