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 2배… 현장복지 강화
“복지 수요가 급증하면서 복지 담당 공무원의 복지도 절실한 상황이 됐습니다. 구청과 읍·면·동사무소 행정직 공무원을 사회복지 담당으로 전환해 현장 복지 인력을 확충하겠습니다.”정홍원 국무총리가 서대문구를 방문해 지방자치단체 복지정책의 롤모델로 부상하고 있는 ‘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극찬했다. 과중한 업무 때문에 사회복지 공무원이 잇따라 자살하고 있는 가운데 서대문구는 동 주민센터 복지 인력을 대폭 확충하고 현장복지를 강화해 주목받고 있다.
22일 서대문구에 따르면 정 총리는 지난 18일 이경옥 안전행정부 2차관, 박용현 보건복지부 사회복지정책실장과 함께 구청을 방문하고 동 복지허브화 사업 보고를 받았다.
이후 북가좌1동 주민센터를 방문해 사회복지 공무원과 저소득 주민의 애로사항을 들었다. 동 복지허브화 사업은 청소, 민원서류 발급 등 단순 주민센터 업무를 대폭 구청으로 이관하는 대신 일반 행정직 공무원을 포함한 복지 담당 공무원을 대폭 확충해 현장 복지를 강화하는 사업이다.
구는 올해 사업을 본격 시행하면서 주민센터 복지 담당 공무원을 기존 평균 3.7명에서 6.2명으로 늘렸다. 복지동장과 일자리 상담사, 방문 간호사를 합하면 주민센터 복지업무 수행 인력은 68%에 달한다.
문석진 구청장은 지난 2월 청와대 영빈관에 초청받아 복지전달체계 개선 우수사례 발표회를 갖기도 했다. 문 구청장은 “동 복지허브화 사업의 목표는 복지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지자체의 현장 중심 복지기능을 강화하는 데 있다”고 설명했다.
복지부뿐만 아니라 안행부, 기획재정부, 전국 40여개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서대문구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고 있다. 서울시도 서대문구를 복지전달체계 개선 우수사례로 제시하고 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