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 주민투표 반대 55%로 통합 무산
|
전주·완주 통합을 묻기 위해 26일 실시된 완주군 주민투표는 찬성이 압도적일 것이란 예상이 크게 빗나갔다. 이번 투표는 전체 유권자 6만 9351명 가운데 3만 6940명이 참여해 53.2%의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하지만 찬성은 44.4%인 1만 6412표를 얻는 데 그친 반면 반대는 55% 2만 343표를 얻어 통합이 무산됐다.
이에 대한 갖가지 원인 분석이 난무하고 있다. 우선 통합하면 양 지역이 모두 상생 발전하고 잘살 수 있다는 ‘지역 발전론’이 혐오시설 배치, 세금 증가, 역차별 등 ‘지역 홀대론’을 넘어서지 못했다는 풀이가 지배적이다. 또 통합추진이 내년 지방선거를 의식한 몇몇 정치인들의 정략적 제휴라는 반대추진위의 공격이 주민들에게 먹혀들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통합 무산의 가장 큰 피해자는 완주군민들인 만큼 민·민, 민·관 간의 갈등 치유가 시급하다는 여론이 높다. 주민들 사이에 책임론이 대두되고 이에 따른 반목과 마찰이 심각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완주지역은 사이 좋게 지내던 이웃사촌과 친인척들이 찬반으로 나뉘어 치열한 공방전을 벌여 이들을 제자리로 되돌리려면 적지 않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완주군 화산면 임용현(한우협회 전북지부장)씨는 “통합 무산의 아픔과 후유증은 고스란히 완주 주민들의 몫으로 남게 된 만큼 갈등을 치유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을 하루빨리 마련해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임정엽 완주군수는 “통합은 환상을 가지고 추진한 게 아니라 희망을 가지고 진행한 것인 만큼 군민들의 뜻을 받들고 섬기겠다. 상처 난 주민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데 힘을 모아 나가자”며 투표 결과를 겸허히 수용했다. 송하진 전주시장도 “역동적인 전북발전을 위해 통합 추진에 헌신했으나 완주군민에게 진심을 전달하는 데 역부족이었다”며 “지난 시간 갈등과 반목은 지역 사랑의 마음으로 씻어내자”고 말했다.
전북도 역시 “완주군민의 선택을 존중하며 투표 결과를 겸허하게 수용해 찬반양론으로 빚어진 주민 간 갈등과 반목을 조속히 치유하고 해소하는 데 최대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3-06-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