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춘희 송파구청장 자치회관 ‘오후의 수다’ 신나는 舌戰
사람들 앞에서 마이크 잡는 게 처음이라 떨었을까. A(69) 할머니가 흔들대는 손을 부여잡으며 말문을 열었다. “예전에 뇌졸중이 와 반신불수가 됐어요.” 그런데 유쾌하다. “아이고 마, 가뜩이나 (몸이 안 좋아) 떨리는데 더 떨리네.” 청중들이 와~ 웃는다. “운동해야 한대서 왔어요. 마음은 에어로빅인데 뇌가 흔들려 못 하겠어요. 그래서 요가 7년 하니 건강해졌습니다. 몇 가지 동작만 해볼게요.” 심하게 앓았다는데 엎드려 허리를 곧추세우는 동작부터 물구나무서기까지 가볍다. 놀라움과 격려의 박수가 쏟아진다.벨리댄스, 노래 등 자치회관에서 익힌 것을 자랑하는 시간이 끝나고 대화가 시작됐다. “건물이 오래돼 춥다 보니 수업받던 아이들이 온풍기 곁으로만 몰립니다. 온풍기 하나 더 놓아 주세요. 꼭요.” 대답은 “제가 한 대는 쏘겠습니다” 하고 시원하지만 또 공격이 들어온다. “이왕이면 저쪽 강의실에도 더 놔주세요. ‘원 플러스 원’이잖아요.” 애교까지 섞이니 무장해제다. “살 때 같이 사면 싸게 살 수 있겠죠. 적극 검토하겠습니다.”
지난 24일 송파구 잠실본동 자치회관에서 열린 ‘오후의 수다’ 자리다. 주민 의견, 불편, 개선 건의 등 다양한 얘기를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듣고 설명하는 시간이다.
구민과의 소통을 가장 중요시하는 박춘희 구청장이 짜낸 아이디어다. 형식도 다양하다. 대강당 같은 곳에서 200~300명과 얘기하는 토크쇼도 있고, 자치회관에서 자그마하게 모이기도 한다. 진행도 마찬가지. 이날 수다 이전에 벌어진 장기자랑 무대도 주민 요구란다. 둘러앉아 얘기만 하는 게 아니라 실력을 자랑하고 싶다고 했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내가 봐도 시설이 열악해 마음이 안 좋은데 공무원들은 예산을 생각해 입밖에 꺼내지 않으니 현장에 나와 얘기를 들어봐야 한다”고 말했다.
춤, 음악, 미술 등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려면 앰프, 바닥, 화장실 등 손봐야 할 게 숱하다. “돌아다니다 보면 ‘아이고, 내가 그냥 돈을 좀 찍어낼 수 있으면 좋을 텐데’ 싶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에요.” 박 구청장은 다음 수다를 위해 자리를 떴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