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로구, 비각 짓고 11월 개방
조선 선조의 일곱 번째 딸인 정선옹주 묘역이 역사문화 공간으로 조성된다.정선옹주는 세도가인 안동 권씨 집안의 권대임과 결혼해 지금의 궁동 67번지 일대에서 살았다. 1963년 서울로 편입되기 전까지 경기도에 속했던 궁동은 ‘궁’이라는 이름처럼 그들이 궁궐 같은 기와집에 살았다는 데서 유래됐다. 안동 권씨 가문은 400년 넘게 마을을 지켰다. 묘역에는 정선옹주 외에도 남편 권대임, 권대임의 조부, 예조판서를 지낸 권협 등 모두 8기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조선 공신 묘역 조성 방식의 귀중한 사례로 문화재적 보존가치가 높은 곳이다.
구는 우선 묘역 옆에 있는 궁동생태공원과 연계해 친환경 복원사업을 추진한다. 묘역 주변엔 전통담장을 세우고 등산로 등을 정비한다. 정선옹주 사적(事蹟)을 기록한 ‘신도비’의 보호 및 기념을 위한 ‘비각’도 짓는다.
사업비는 지난해 국토교통부에서 진행한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 환경문화사업에 응모해 확보한 4억원과 서울시에서 지원받은 1억원으로 충당한다. 앞서 구는 2010년 정선옹주·권대임·권협 신도비를 탁본을 떠 복원했다. 아울러 신도비 내용과 묘역 일대의 역사적 가치를 소개하는 안내문도 설치했다.
구 관계자는 “역사문화 공간 조성사업을 마무리하면 역사를 배우면서 편안하게 휴식도 즐길 수 있는 명소로 거듭날 것”이라고 기대했다.
홍혜정 기자 jukebox@seoul.co.kr
2014-04-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