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은 흉작, 농가는 풍작 왜
“올 벼농사는 풍작일까 흉작일까.”호남지방통계청은 최근 전북지역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이 65만 8000t으로 지난해보다 3.4% 줄어들 것이라고 발표했다. 흉작은 아니지만 예년만 못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농민들은 올 벼 수확량이 지난해보다 오히려 크게 늘었다고 반박하고 있다. 예년보다 수확량이 10% 이상 증가해 풍년 농사라고 항변한다. 호남평야의 중심지 전북 김제시 공덕면 회룡리에서 6만㎡의 논농사를 짓는 문홍길(57)씨는 16일 “지난해보다 10% 이상 수확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같은 마을에서 4만 6000㎡의 벼농사를 짓는 문병을(68)씨도 “지난해 1필지(1200평)에서 40㎏들이 벼 70포대를 수확했는데 올해는 75개 정도 나왔다”고 전했다. 문용수 공덕농협 상무도 “10~15% 수확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충남도도 쌀 생산량이 지난해 80만 1000t에서 올해 81만 7000t으로 늘었다. 벼 경작면적은 지난해보다 3000㏊ 줄어들었다. 단위면적(a)당 생산량은 543㎏에서 562㎏으로 증가했다. 도 관계자는 “통계청 발표는 쌀 경작 면적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며 “농민들은 오히려 풍작을 걱정한다”고 말했다.
이런 차이가 생긴 것은 일기가 나빴던 시기에 작황조사를 했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통계청은 지난달 15~24일을 전후해 작황을 조사, 올 예상 생산량을 전망했다. 하지만 하필 이 기간에 비가 자주 내려 일조량이 줄었고 기온이 떨어져 수확량이 줄어들 것으로 분석한 것이다. 그러나 조사 이후 날씨가 계속 좋아 황숙기와 등숙기에 접어든 벼가 잘 익어 풍년농사로 반전했다.
예상과 달리 풍년이 전망되지만 농민들의 표정은 그리 밝지 않다. 쌀값이 떨어져 오히려 농가들의 실질 소득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김제지역 미곡종합처리장의 산물벼 매입가는 일반벼가 40㎏ 1포대에 5만 1000원으로 지난해 5만 6000원보다 5000원 떨어졌다. 밥맛이 좋은 신동진벼도 5만 3000원으로 지난해보다 5000원 낮다. 이 때문에 농민들은 산물벼 가격이 더 떨어질 것을 우려해 서둘러 미곡종합처리장에 쌀을 내고 있다.
농협 관계자는 “풍년이 들면 쌀값이 다소 떨어지더라도 수확량이 이를 보완해 줘 농민들의 소득에 큰 차이가 없는데 수확량이 조금 늘고 가격이 많이 내려가면 농민과 농협 미곡처리장이 모두 어려움을 겪는다”고 걱정했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홍성 이천열 기자 sky@seoul.co.kr
2014-10-1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