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수구 학교당 1억 5000만원…서·계양구는 8500만원 그쳐
28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2012년 9월 서구·계양구 6개, 연수구 4개 초·중학교가 교육국제화특구(국제화자율정책추진학교)로 지정, 운영 중이다.
그러나 교육국제화특구 지원 예산은 지역별로 차이가 크다. 연수구는 학교마다 1억 5000만원이 지원되는 반면 서구·계양구는 8500만원에 불과하다. 이는 서구·계양구가 교육국제화특구 투자계획을 세우면서 지방비 대응 투자(국고와 교육재정특별교부금을 합한 만큼 지방비로 투자)가 많아질 것을 우려해 교육재정특별교부금을 교육국제화특구 학교가 4곳인 연수구보다 오히려 1억원가량 적은 5억 1000만원을 신청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구·계양구 교육국제화특구 학교들은 사업 운영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원어민 강사 채용에만 1인당 연간 4000만원(체류비 등 포함)이 들기 때문에 일부 학교는 시간제 형태로 원어민 강사를 채용하고 있다. 원어민 강사를 단기 채용하면서 교육과정 운영 흐름이 끊기거나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 원어민 강사 참여 없이 진행하는 등 애로를 겪고 있다. 게다가 교육국제화 인프라 구축을 통한 지역사회 국제경쟁력 강화라는 당초 특구 조성 취지는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서구의 한 교육국제화특구 학교 관계자는 “많은 예산이 소요되는 원어민 강사 등을 운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원어민 강사 채용은 물론 다른 사업도 최소 범위에서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구 관계자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로 지원 예산 차이에 따른 내실의 격차를 줄이겠다”면서 “지역 대학과 연계한 지역 네트워크 구성 등을 통해 질적 수준 향상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4-10-2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