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군 공항이 있는 서수원지역 주민들은 60년간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왔을 뿐 아니라 전투기 소음으로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었다”면서 “시민들의 열망과 지역 국회의원, 행정의 지속적인 노력으로 특별법이 제정돼 공항 이전이 가능하게 됐다”고 강조했다.
“이전 부지에는 고품격 생활 문화와 글로벌 첨단산업이 어우러지는 스마트 폴리스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낙후를 면치 못했던 고통의 땅이 수도권 경제권의 중심지로, 기회의 땅으로 도약하는 셈이지요.”
국방부 역시 연간 3000억원이 넘는 소음 피해 보상 관련 재정부담에서 벗어나고 안정적인 작전운영과 군 현대화도 꾀할 수 있게 된다. “수원 군 공항 이전으로 서수원뿐 아니라 공항이 옮겨갈 지역도 적지 않은 경제적 효과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 부시장은 “국토연구원 분석에 따르면 이전 지역에는 신규 공항 입지로 14조원 이상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이전 후보지 선정과 관련해서는 “국방부에서 2곳을 후보지로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 이전 지역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각종 지원 사업을 먼저 제안한 뒤 신청을 받는 공모방식도 모색해 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2014-11-24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