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미 의원 “미·일안보조약은 ‘도발 중단’ 전제”
미국 정부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미·일 상호방위조약이 ‘강제 종군 위안부’의 존재 부인 등 모든 ‘도발 행위’의 중단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줘야 한다고 전 미 의원 데이비드 우가 28일(현지시간) 주장했다.그는 “우리는 아베 정부에 종군위안부 부인, 평화헌법의 개정 또는 재해석, 남한과 중국 및 다른 많은 아시아 국가를 자극하는 특정장소의 방문 등 모든 도발 행위의 중단이 상호방위조약의 전제라는 점을 가장 정교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동원해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일본은 동중국해 댜오위다오(釣魚島·일본명 센카쿠<尖閣>) 분쟁과 관련 중국과 무조건 대화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 전 의원의 이 같은 주장은 미국을 국빈방문하고 있는 아베 총리가 백악관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회담하고 있을 때 제기됐다.
아베 총리는 이날 공동기자회견에서 또 한번 ‘위안부’ 관련 언론 질의를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위안부’는 2차대전 중 일본군이 강제적으로 성노예화한 여성을 은유적으로 일컫는 말이다.
아베 총리는 당시 회견에서 분명히 사과하는 대신 “인신매매로 인한 희생의 결과로서 헤아릴 수 없는 아픔을 겪은 위안부를 생각할 때 심한 고통을 느낀다”고만 말했다.
그는 또 지난 1월 의회 연설에서 미국 맥그로힐 고등학교 교과서의 ‘위안부’ 구절을 비판하기도 했다.
지난 1999년부터 2011년까지 의원직을 역임했던 그는 “우리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입장 변경을 역사와 보상에 관련지어 보고 있지만, 아시아에서는 그 지역 모든 나라에 영향을 미칠 일본 민족주의 부활의 전조로 보고 놀라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이 책임감 있는 지도력을 행사하고 지역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 비극적인 사안과 이것에 관련된 많은 다른 국제적 사건을 100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적 관점으로 바라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댜오위다오 분쟁에 대해 우 전 의원은 일본이 이 섬들을 국유화하려 하면서 현재의 광기어린 소동이 빚어진 것이라며 이 분쟁이 미국까지 개입시키는 의도하지 않은 충돌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