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영상기업인 뉴질랜드 웨타워크숍이 제작해 광명동굴 판타지관에 설치한 용이 10월 22일부터 일반에 공개됐. 사진 왼쪽부터 존 라일리 주한 뉴질랜드 부대사, 웨타워크숍 CEO 리처드 테일러 경, 양기대 광명시장 |
지역별로는 대만이 절반을 넘는 611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국 2261명, 홍콩 1256명, 싱가포르 271명, 태국 229명 순이었다. 월별로는 8월 1123명, 9월 2704명, 10월 2271명, 11월 3062명으로 시간이 갈수록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태국,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에서 광명동굴을 찾아오는 단체관광객들의 발길도 늘어났다.
광명동굴은 1972년 폐광된 뒤 방치됐으나 지역에 뚜렷한 관광시설이 없어 고민하던 경기 광명시가 2011년 1월 43억원에 매입, 문화와 관광이 접목된 테마파크로 만들어 2012년 7월 시민들에게 개방했다. 길이 7.8㎞에 지하 275m까지 내려갈 수 있으며, 총면적 34만 2797㎡에 8개 갱도로 구성됐다. 흔히 가학산동굴로 불리던 이곳은 특이한 볼거리로 입소문을 타면서 광명의 명물로 자리잡았다. 올 들어서는 짜임새를 높이기 위해 3개월간의 리모델링으로 20개의 테마공간을 갖춘 뒤 지난 4월 다시 문을 열었다
1만번째 방문객인 대만 관광객 ?쭈위(36·여)는 “조형물을 비롯해 볼거리가 다양해서 좋았고, 특히 크리스마스 시즌을 맞아 설치한 썰매와 사슴, 천사 조명이 아름다웠다”고 밝혔다.
양기대 광명시장은 “외국인 관광객 가운데 대만에서 오신 분들이 가장 많아서 감사하다”며 “돌아가면 주위 분들에게 광명동굴을 적극 소개해 달라”고 당부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