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용적률·월세수익 등 입소문… 사업설명회 400여명 몰려
서울시가 고밀도 개발과 청년 주거 문제를 한번에 잡겠다고 지난달 23일 내놓은 ‘역세권 2030 청년주택’에 건설업계의 관심이 뜨겁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2008년에 추진한 ‘역세권 시프트’와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다. 당시 역세권 용적률을 최대 500%로 높여 장기전세주택을 짓는 사업이었는 데도 철저하게 시장에서 외면당했다.박원순 서울시장이 26일 서울 중구 시청사에서 열린 역세권 청년임대주택 사업설명회에서 건설사 관계자와 토지주 등에게 향후 계획을 직접 설명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
이른바 ‘박원순표 역세권 개발’로 불리는 역세권 2030 청년주택 설명회가 열린 26일 건설사와 금융, 시행사 관계자, 토지주 등 400여명이 몰려 민간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시 관계자는 “당초 160여명 정도 참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2.5배 이상의 사람들이 찾았다”고 말했다. 현재 지하철 2·5호선 충정로역과 6호선 봉화산역에서 시범사업 중이다.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제2·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묶여 있는 역세권 용도지역을 준주거와 상업지역의 용적률(준주거 400%, 상업 680%)을 적용해 고밀도 개발을 허용한다. 시가 용적률을 높여주는 대신 사업자는 주거면적 100% 준공공임대주택을 지어야 한다. 임대의무 기간은 8년이고 연 임대료 상승률은 5%이어야 한다. 시는 이 중 10~25%를 전용 45㎡ 이하의 소형 공공임대주택으로 확보해 대학생과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에게 주변 시세의 60~80%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월세시대의 도래도 흥행에 한몫했다. 김승배 피데스개발 대표는 “월세시대로 전환된 현실을 반영한 것이 큰 장점”이라면서 “오 전 시장의 역세권 시프트는 수익모델이 전세 분양 중심이었고, 사업기간이 길어 금융비용이 부담이었다. 하지만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은 월세로 지속적인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3년 동안 행정절차를 간소화해 6개월 이상 사업기간을 단축하겠다는 복안도 내놓았다. 2%의 정책금리 제공도 반가운 소식이다.
●‘사업자 중심’ 시책 비판도
일각에서는 역세권 2030 청년주택이 사업자 중심으로 짜였다고 비판한다. A건설사 관계자는 “준공공임대인데 임대료가 비싼 역세권인 탓에 실제 임대공급 가격이 저렴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서울시 전체의 월세가 하향하지 않으면 청년 주거 문제 해결에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반면 변창흠 SH사장은 “역세권 주변에 소형주택의 공급이 늘어나면 월세 하락 등으로 주거비 부담이 줄어들 수 있고, 늘어난 공공임대가 청년 주거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2016-04-27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