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우 자연과학부 교수팀은 ‘과산화효소(peroxidase, 퍼옥시데이스)’를 촉매로 세포 속에서 화학반응을 유도, 형광물질 등과 만나게 하는 방법으로 단백질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단백질이 서로 다른 색을 띠게 해 위치를 쉽게 알아내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로 소포체 막단백질의 하나인 ‘HMOX1(heme oxigenase1) 단백질’의 시작부와 말단부가 모두 제한된 공간에 있다고 알려진 것과 달리 시작부가 공간 밖으로 빠져나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 같은 세포 속 작은 기관에서도 단백질 위치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면서 “단백질의 정확한 위치 파악은 신약 개발 등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세포 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셀 리포츠(Cell Reports)’ 최신호에 실렸다.
울산 박정훈 기자 jhp@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