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랑 축제 경제 효과 91억… 3년 새 방문객 80배 증가
서울 중랑구의 ‘서울장미축제’가 잭팟을 터뜨렸다. 중랑천 둑길 따라 핀 장미 8만 9000그루가 만들어낸 경제 효과는 90억원이 넘었다.
|
구체적으로는 지역 전통 상인 등이 운영한 먹거리 장터와 장미 관련 수공예품, 티셔츠, 모자 등의 판매 등 직접적인 매출이 36억 6913만원이었다. 중랑구 브랜드를 강화하는 등의 간접적 생산유발 효과는 55억 1800만원이었다. 반면 장미축제에 구가 들인 예산은 약 1억 9000만원에 불과했다. 저비용·고효율 축제였다는 의미다.
또 축제가 열린 사흘 동안 행사장을 찾은 인원은 모두 41만 4492명으로 전년 축제 방문객 16만명에 비해 2.6배가 늘었다. 나진구 중랑구청장은 애초 올해 목표 방문객 수를 30만명으로 잡았는데 이를 훌쩍 뛰어넘은 것이다. 나 구청장이 취임하기 1년 전인 2013년에는 이 행사 방문객 수가 5000명 수준에 불과했다. 3년 새 80배 늘어난 것이다.
특히 방문객 중에는 지역 주민 16만 4973명보다 외국인 2112명을 포함해 외지인이 24만 7407명으로 훨씬 많았다.
연구소 측은 서울장미축제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프로그램을 구성한 덕에 큰 성공을 거뒀다고 분석했다. 김신표 소장은 “중랑구와 이웃 지역들에는 서민층이 몰려 사는 단독·다세대주택이 많은데 소박하면서도 내실 있는 전통 장터 운영과 장미를 소재로 한 축제 구성이 시민들의 마음을 파고든 것 같다”고 말했다.
나 구청장은 “서울장미축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 하나가 지역 경제에 얼마나 큰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지 보여준 좋은 사례”라면서 “그동안 스페인의 토마토축제나 충남 보령 머드축제 등의 성공 사례를 연구했는데 앞으로 중랑구의 서울장미축제가 다른 지자체의 롤모델이 될 수 있도록 더 잘 다듬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6-06-3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