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부처 공무원노동조합에서 함께 일하고 싶거나 꺼리는 간부 등 베스트·워스트 간부를 조사하고 있지만 워스트 간부 조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아 조사에 대한 무용론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정부세종청사 모습. 연합뉴스 |
베스트 간부·함께 일하고 싶은 간부·롤모델 간부 등 다양한 이름으로 간부 평가를 진행하는 정부부처 공무원노동조합 전현직 간부들의 전언이다. 그러나 ‘워스트’ 공무원에 대한 결과는 공개되지 않는다.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조사를 해 놓고 베스트 간부만 발표하는 것에 대한 불만도 나온다. A주무관은 “공개하지도 않을 조사를 굳이 왜 하는지 모르겠다”면서 “스스로 인식하지 못하고 주변에서 시그널도 없는데 개선이 되겠는가. 결국 사람에 대한 불신만 가중시킨다”고 지적했다.
노조 내부에서도 공개 필요성이 제기되나 ‘역풍’을 우려해 실행하지는 못하고 있다. 워스트로 선정된 주된 사유가 주관적이고 부정적인 ‘인간성’이라는 점에서 부담을 토로한다.
정부세종청사 B위원장은 “대부분 (직원들이) 예상할 수 있는 인물들이 뽑힌다”면서도 “당사자가 견디기 힘든 고통을 겪을 수 있는 등 공개로 인한 상황 예측이 어려워 봉인하는 것이 관례”라고 말했다.
일부 부처 노조는 조사 결과를 기관장 또는 당사자에게만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관장이 대상자를 불러 주의, 경고했다는 후문도 있지만 대부분 무시되는 데다 인사 등 평가에 반영하지 않는다.
전직 노조위원장 출신인 C사무관은 “기준이 정해지면서 워스트 간부가 나오지 않는 해가 많아졌고, 결과를 통보받은 당사자도 조용히 수용하더라”면서 “연속 워스트에 선정된 사례가 없다는 것은 개선 노력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나 다수 의견은 실효성 없는 조사 ‘무용론’을 주장한다. 외청의 한 노조위원장은 “객관성이 담보되지 못하는 데다 노조의 이벤트라는 인식이 강해 폐지했다”면서 “베스트 공무원도 자칫 능력과 무관하게 ‘사람만 좋다’는 식으로 오인될 수 있어 조사 취지를 무색하게 만들기도 한다”고 전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7-03-13 3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