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야구단
“승부의 세계는 냉정합니다. 금융당국이라고 결코 봐주고 하는 건 없죠.” 27대4. 금융위원회 야구 동호회 멤버들은 2년 전 첫 공식경기 당시 아픈 기억을 잊지 못한다. 금융권 3부 리그에서도 약체로 꼽힌다는 H카드 선수들의 방망이가 그렇게 무서울지는 몰랐다. 계속 이어지는 공격에 상대팀 타자 얼굴을 모두 외울 정도였다. “한 점만 더 내주면 대부업 최고금리(27.9%)를 넘어선다”는 우스갯소리도 나왔다. 그렇게 2시간의 혈투(동호인 야구 규정상 5이닝 또는 2시간이 넘으면 경기 종료) 내내 수비만 한 기억밖에 없었다.# 한때 실점률, 대부업 최고금리 27.9% ‘망신살’
그 후에도 4연패가 이어졌다. 어쩐 일인지 금융위만 만나면 한풀이라도 하듯 은행부터 보험사팀들은 신바람 야구를 이어 갔다. 그렇게 첫해 시즌 성적은 3승1무7패였다. 그나마 시즌 후반 뒷심을 발휘한 것이 다행이었다.
이듬해인 지난해에도 영화 같은 반전은 없었다. 딱 1승을 더 건진 4승1무6패였다. 동호회 결성을 주도한 서병윤(36) 자산운용과 사무관은 “지난해보다 1승만 더 챙기면 5할 승률”이라면서 “그러면 명실공히 중위권 팀”이라고 미소 짓는다. 핑계(?) 없는 무덤이 어디 있겠느냐만 저조한 팀 성적에는 다 이유가 있다. 대형 보험사는 인재풀이 1만~2만명이 넘지만 금융위는 파견 인원까지 탈탈 털어야 256명이다. 팀마다 한두 명은 꼭 있다는 이른바 ‘선출’(선수 출신)도 한 명 없다. 첫 연습 때 야구 글러브를 처음 껴 봤다는 이가 절반이 넘었다. 서 사무관은 “없는 식구로 리그를 뛰려니 인원 채우는 것이 제일 어렵다”고 말한다. 심지어 국정감사 시즌 등에는 내·외야수의 절반이 주말근무에 나가야 하는 탓에 몰수패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 5할 승률이 목표… 승리에 집착 보다 경기 즐겨
처음에는 회의적인 시선도 많았다. 바쁜 금융위 업무를 고려하면 동호회가 얼마 가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들이었다. 하지만 야구단은 어느덧 금융위 내에서 가장 많은 인원이 정기적으로 모이는 1등 동호회로 자리매김했다. 선배들로부터 답지한 금일봉과 회식 지원의 도움도 컸다. “내가 뛰면 너희는 모두 2군”이라고 늘 너스레만 떠는 고위 간부와 국·과장들이 건넨 정성이었다. 특히 연세대 야구 동아리 출신인 임종룡 위원장은 2015년 금융권 리그 개막식에서 직접 시구를 할 정도로 관심이 많다. 출중한 축구 실력이 더 알려진 임 위원장의 투구를 보고 관중석에선 ‘10승 투수감’이라는 탄성도 나왔다.
안타깝게도 올해 출발은 좋지 않다. 이달 18일 S저축은행과의 시합에서 아깝게 지며 소중한 첫 승리를 챙기지 못했다. 판정에 항의하며 경기가 20분간 중단되는 사태까지 벌어졌지만 17대14란 스코어로 마감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7-03-27 3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